메뉴

NOTICE

WK 뉴스레터 구독신청 바로가기
개인정보 수집·이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상의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참관객의 개인정보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및 같은 법 제22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WELDING KOREA 2020 전시회 뉴스레터 제공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가.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전시회 뉴스레터 발송
2) 기타 서비스 및 정보의 안내
나.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관련법령에 의한 경우, 이용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상기목적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지 않을 것이며, 이용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의 사전동의를 받을 것입니다.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이용자에게 전시회와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집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제공을 위한 필수항목 이외에는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1) 필수항목 : 이메일 주소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가.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주)코엑스 창원사무소가 보유합니다.
나.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하기의 경우 삭제 및 파기합니다.
1) 이용자가 서비스를 더 이상 원하지 않거나 자격을 상실한 경우
2) 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경우
다.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5년간 보존 후 삭제하거나 다른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 관리 합니다.
1) 이용자가 홈페이지 및 전시회 관련 서비스를 연속해서 5년간 이용하지 않을 경우
2) 개인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이용자와 5년간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4.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본사는 개인정보 보유기관의 경고,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정보주체로부터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관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5.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및 공유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주)코엑스 창원사무소]에서 제공하는 [WELDING KOREA 2020] 뉴스레터 서비스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 전시개요
  • 참가안내
  • 브로슈어
  • home
  • NOTICE
  • 보도자료 / 업계소식

보도자료 / 업계소식

"지역 뿌리산업 육성해 균형발전 일궈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83회 작성일 22-05-25 09:20

본문


수도권 창업 증가 등 격차 심화
비수도권 지원 강화 필요 공감
김수흥 의원 개정안 대표발의

뿌리기업 수도권 집중을 막고자 하는 법안이 발의돼 주목된다.

뿌리기업이란 금형, 주조, 열처리, 표면처리, 용접, 소성가공 등 6대 뿌리기술 공정을 활용하는 업체를 뜻한다. 여기서 '뿌리'란 나뭇가지나 잎처럼 보이진 않으나 제조업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산업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2018년 기준 뿌리기업의 53.1%(1만 7308곳)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비수도권에서는 동남권이 24.4%(7959곳)로 가장 많았다. 최근 3년도 비슷한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경남지역은 전국 대비 12.9%(4179곳)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두 번째로 많았다.

문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뿌리기업 수 격차가 줄어들지 않고 답보하거나 오히려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수도권 집중으로 비수도권의 뿌리산업 기반 약화까지 우려된다.

이에 국회 김수흥(더불어민주당·전북 익산 갑) 의원 등 10명이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지난 19일 발의했다.

개정안 뼈대는 뿌리기업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막고 비수도권 뿌리산업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는 △현행법상 추상적이라는 지적이 나온 단어 '지방 이전'을 '비수도권 이전'으로 수정 △비수도권 뿌리기업 지원을 우선해야 한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실제로 수도권 대 비수도권 기술기반업종 창업 수는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2019년 기준 수도권 창업은 60.23%(13만 2882건), 비수도권은 39.77%(8만 7725건)였는데 2021년 들어 수도권은 63.83%(15만 2959건), 비수도권은 36.17%(8만 6661건)로 더욱 격차가 심화했다. 특히 제조업이 주력산업인 동남권에서 기술기반업종 창업이 3년간 감소했다. 경남지역 기술기반업종 창업은 2019년 1만 3322건에서 1만 1958건으로 줄었다.

법안에는 비수도권 뿌리기업 우선 지원을 위해 정부의 뿌리산업 지원정책에서 비수도권을 우대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서 추진하는 뿌리산업 지원정책은 대표적으로 뿌리기술 전문기업 지정이 있다. 뿌리기술 전문기업이란 뿌리산업 중 핵심 뿌리기술을 보유하고 성장 가능성이 우수한 뿌리기업을 뜻한다.

2013~2021년 선정된 뿌리기술 전문기업 수를 보면 수도권 599곳, 비수도권 718곳이다. 경남은 160곳으로 비수도권 중 경북(170곳) 다음으로 많다. 지금도 비수도권의 전문기업 수가 우세하지만, 지역 우대를 더욱 강화해 뿌리산업을 장려해야 한다는 취지다.

김수흥 의원은 "갈수록 심화하는 수도권 쏠림 현상을 막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비수도권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기업유치, 산업, 일자리는 균형발전의 핵심동력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제도 정비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오픈채팅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