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NOTICE

WK 뉴스레터 구독신청 바로가기
개인정보 수집·이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상의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참관객의 개인정보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및 같은 법 제22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WELDING KOREA 2020 전시회 뉴스레터 제공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가.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전시회 뉴스레터 발송
2) 기타 서비스 및 정보의 안내
나.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관련법령에 의한 경우, 이용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상기목적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지 않을 것이며, 이용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의 사전동의를 받을 것입니다.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이용자에게 전시회와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집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제공을 위한 필수항목 이외에는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1) 필수항목 : 이메일 주소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가.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주)코엑스 창원사무소가 보유합니다.
나.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하기의 경우 삭제 및 파기합니다.
1) 이용자가 서비스를 더 이상 원하지 않거나 자격을 상실한 경우
2) 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경우
다.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5년간 보존 후 삭제하거나 다른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 관리 합니다.
1) 이용자가 홈페이지 및 전시회 관련 서비스를 연속해서 5년간 이용하지 않을 경우
2) 개인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이용자와 5년간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4.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본사는 개인정보 보유기관의 경고,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정보주체로부터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관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5.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및 공유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주)코엑스 창원사무소]에서 제공하는 [WELDING KOREA 2020] 뉴스레터 서비스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 전시개요
  • 참가안내
  • 브로슈어
  • home
  • NOTICE
  • 보도자료 / 업계소식

보도자료 / 업계소식

광주 뿌리산업, 경쟁력 제고 서둘러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94회 작성일 22-06-22 09:53

본문

자동차와 가전 등 광주 주력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이 흔들리고 있다. 지난 10여년 간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지만, 이면엔 기업 영세화 등으로 인해 갈수록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본지 기획탐사보도에 따르면 지역 뿌리산업은 광주시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조·금형·소성가공·용접·표면처리·열처리 등 광주지역 전체 뿌리 산업체수는 2016년 1,334곳에서 2019년 1,417곳 등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광주시는 특히 금형 부문에 아낌없는 투자를 진행해 광산구 평동산단에 ‘하이테크 금형센터’가 들어서는 등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됐다. 2014년에는 ‘뿌리산업 진흥 및 육성 지원에 관한 조례’도 제정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성장에도 불구, 경쟁력은 뒷걸음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뿌리산업 종사자 수는 2018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됐고, 종사자 규모도 1~9명이 75.5%에 달하는 등 영세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특화분야인 금형산업의 위축도 두드러져 2016년 1조2,932억원이던 매출은 2020년 1조432억원으로 5년 새 2,500억원이 줄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지난해 지원 확대 등을 골자로 한‘뿌리산업법’을 개정하면서 광주도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다. 정부는 기존 6개 분야에 로봇 등 차세대 공정 8개를 추가했고, 관련 산업의 디지털 전환 등도 가속화 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도 이에 발맞춰 지역 뿌리산업의 스마트 생태계 조성에 집중한다는 계획이지만, 갈 길은 여전히 멀다는 지적이 적잖다. 관련 산업계에서는 스마트화 등과 더불어 3D 직군 인식개선, 연구개발 확대, 스타·앵커기업 유치 등을 주문하고 있다. 또 산학연 네트워크, 다품종 소량생산, 통계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내놓고 있다. 그동안 지역 주력산업의 성공을 뒷받침했던 뿌리산업이 미래 신성장동력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프리미엄 기술로 나아갈 수 있도록 광주시가 관련 업계의 다양한 조언들을 귀담아 듣고 실행해야 할 때다.
카카오오픈채팅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