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공회의소와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16일 민선8기 인천시장 후보에게 제안하는 ‘인천경제 이렇게 가꾸어 주십시오’ 기자회견을 열었다. <인천상의 제공>
인천기업인들이 16일 차기 인천시장에게 제안한 ‘인천 경제 이렇게 가꾸어 주십시오’ 정책집의 ‘튼튼한 산업 기반이 있는 인천’은 지역 주력 산업인 제조업의 비중과 종사자 감소 추세에 따른 전략 수립 요구를 반영한 정책이다.

기업인들은 지역 제조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 소재·부품·장비(소부장)산업은 성숙기에 접어들어 성장 정체를 보이면서 위기를 맞았다고 진단했다. 이에 ▶노후 산단 재생, 뿌리산업, 소부장산업 육성(23.9%)을 첫 번째 제안으로 뽑았다. 남동스마트산단 조성사업과 소부장 실증화 지원센터 구축 등을 통해 전통산업과 신산업을 조화롭게 발전시키겠다는 제안이다.

또 ‘기업하기 좋은 인천’에서는 ▶정책자금 지원 규모 확대(32.6%)가 첫 번째 제안으로 제시됐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위축된 기업인들의 심리 회복과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정책자금 등 기업 지원 정책 규모 확대를 요구했다. 이어 ▶인력 지원사업 확대(20.5%), ▶연구개발(R&D)기술 개발, 특허·인증·산업디자인 지원 확대(12.3%) ▶물류 여건 개선(10.6%)이 제안됐다.

‘산업 친화적 인프라가 조성된 인천’은 물류 수요 증가가 예측되는 인천 경제상황을 반영한 정책 제안이다. 특히 인천은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갖춘 국제 물류 거점으로서 화물차 등 도심 통과 교통량 분산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래서 제안된 첫 번째 정책이 바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안산 구간 착공(24.8%)이다.

끝으로 ‘도시 경쟁력을 갖춘 인천’은 ▶수도권정비계획법 폐지(21.6%) ▶인천경제자유구역 역차별 해소(20.6%)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전면 재개정(15.3%) 등이 제안됐다. 해당 정책은 지역 경제성장의 큰 걸림돌인 수도권 규제의 문제점을 지적한 내용이 핵심이다.

기업인들은 인천이 수도권으로 분류되면서 공공기관이 인구 대비 타 시도와 비교해 매우 부족하고, 기존 공공기관마저도 균형발전을 이유로 이전이 추진돼 도시 경쟁력을 저해한다고 봤다. 그렇기에 규제 해소를 위한 인천시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이번 정책에 담았다. 또 인천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중앙에 집중된 권한과 재원의 과감한 이양과 인천에 위치한 공공기관의 경영권 참여 보장도 제안했다.

심재선 인천상공회의소 회장은 "인천은 무엇보다도 수도권에 위치해 받는 각종 역차별이 많은 문제지만, 인천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사안들이 많다. 이번에 내놓은 제안이 민선8기 정책에 반영돼 인천기업인들이 경영 의욕을 회복하고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