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NOTICE

WK 뉴스레터 구독신청 바로가기
개인정보 수집·이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상의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참관객의 개인정보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및 같은 법 제22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WELDING KOREA 2020 전시회 뉴스레터 제공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가.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전시회 뉴스레터 발송
2) 기타 서비스 및 정보의 안내
나.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관련법령에 의한 경우, 이용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상기목적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지 않을 것이며, 이용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의 사전동의를 받을 것입니다.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이용자에게 전시회와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집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제공을 위한 필수항목 이외에는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1) 필수항목 : 이메일 주소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가.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주)코엑스 창원사무소가 보유합니다.
나.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하기의 경우 삭제 및 파기합니다.
1) 이용자가 서비스를 더 이상 원하지 않거나 자격을 상실한 경우
2) 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경우
다.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5년간 보존 후 삭제하거나 다른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 관리 합니다.
1) 이용자가 홈페이지 및 전시회 관련 서비스를 연속해서 5년간 이용하지 않을 경우
2) 개인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이용자와 5년간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4.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본사는 개인정보 보유기관의 경고,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정보주체로부터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관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5.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및 공유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주)코엑스 창원사무소]에서 제공하는 [WELDING KOREA 2020] 뉴스레터 서비스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 전시개요
  • 참가안내
  • 브로슈어
  • home
  • NOTICE
  • 보도자료 / 업계소식

보도자료 / 업계소식

"뿌리산업 적용대상 확대가 되레 경쟁력 하락 부채질 우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18회 작성일 22-02-14 09:04

본문

무분별한 '뿌리기술' 적용 범위 확대가 오히려 기존 뿌리산업의 경쟁력을 하락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재원은 한정적인 반면 적용 대상 기업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법률 개정에 대한 의미를 퇴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약 6개월간의 계도 과정을 거쳐 지난해 12월16일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을 전면 개정했다. 이에 뿌리산업 소재 범위는 기존 금속 1개에서 플라스틱·고무·세라믹 등 6개로 늘어났고, 뿌리산업 기술 범위도 기존 주조·금형·소성가공·용접·열처리·표면처리 분야에다 정밀가공·사출·프레스·센서 등 차세대 공정 기술이 추가됐다.

이번 개편에 따라 뿌리산업 기업 수는 기존 3만2천개에서 9만개로 3배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산업통상자원부 뿌리산업경쟁력강화지원 예산은 지난해 139억원에서 올해 198억원으로 42.4%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를 놓고 지역 뿌리산업계에선 정부의 보여주기식 행정이라는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대구제3산업단지 자동차도금업체 A사 부사장은 "재원은 한정적인데 기업 수는 배 이상 늘어나니 뿌리인증사업을 유지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며 "인증 발급 시 대출 이자 감면과 정부지원사업 가점 부여, 신규 외국인 고용 등 혜택이 많지만 영세기업의 경우 조건 충족에 어려움이 많아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로봇 등 특정 기업에 정부 자금이 쏠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해당기업이 뿌리기업인증서를 받기 위해선 매출액 중 뿌리기술을 이용한 매출을 50% 이상 달성해야 하고, 상호출자제한기업에 속하면 안 된다는 조건이 명시돼 있다. 이 때문에 지역 기업인들은 뿌리기업 범위에 속하면서도 인증서 발급을 망설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같은 여건 등으로 국내 뿌리기업의 경쟁력은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국내 뿌리기업의 매출액 대비 제조원가 비율은 2015년 63.6%에서 2019년 78.7%로 15.1%나 상승했다. 해를 거듭할수록 생산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2019년 기준 국내 뿌리기업은 162조3천466억700만원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제조원가로 130억1천549억3천900만원을 쓴 것으로 집계된다.

대구경북의 뿌리기업(2019년 말 기준 대구 2천342개·경북 1천797개) 사정도 녹록지 않다.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경북뿌리산업 특화단지 4곳의 평균 가동률은 2020년 대비 최대 20%포인트 하락했다. 2021년 8월까지의 성서뿌리산업특화단지와 성서금형산업특화단지의 누적 가동률은 각각 58.7%와 63.9%로, 2020년 대비 최대 2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같은 기간 경북의 고령1일반산업특화단지(50.8%)와 구미금형산업특화단지(64.4%) 가동률 역시 10%포인트 이상 줄어 들었다. 2019년 말 기준 대구(2천342개)와 경북(1천797개)에는 4천여 개의 뿌리기업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정명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구뿌리기술지원센터장은 "뿌리기업이 올바르게 성장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정보에 대한 관심"이라며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나 지역뿌리기술지원센터에 방문해 자격 요건을 검토하고 뿌리기술지원 혜택을 받는데 필요한 점 등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카오오픈채팅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