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NOTICE

WK 뉴스레터 구독신청 바로가기
개인정보 수집·이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상의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참관객의 개인정보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및 같은 법 제22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WELDING KOREA 2020 전시회 뉴스레터 제공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가.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전시회 뉴스레터 발송
2) 기타 서비스 및 정보의 안내
나.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관련법령에 의한 경우, 이용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상기목적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지 않을 것이며, 이용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의 사전동의를 받을 것입니다.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이용자에게 전시회와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집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제공을 위한 필수항목 이외에는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1) 필수항목 : 이메일 주소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가.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주)코엑스 창원사무소가 보유합니다.
나.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하기의 경우 삭제 및 파기합니다.
1) 이용자가 서비스를 더 이상 원하지 않거나 자격을 상실한 경우
2) 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경우
다.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5년간 보존 후 삭제하거나 다른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 관리 합니다.
1) 이용자가 홈페이지 및 전시회 관련 서비스를 연속해서 5년간 이용하지 않을 경우
2) 개인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이용자와 5년간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4.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본사는 개인정보 보유기관의 경고,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정보주체로부터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관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5.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및 공유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주)코엑스 창원사무소]에서 제공하는 [WELDING KOREA 2020] 뉴스레터 서비스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 전시개요
  • 참가안내
  • 브로슈어
  • home
  • NOTICE
  • 보도자료 / 업계소식

보도자료 / 업계소식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성장세…韓부품사에 기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44회 작성일 22-01-10 09:23

본문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성장세…韓부품사에 기회

코로나19로 산업현장 자동화 잰걸음

2023년 약 70조까지 시장 규모 확대
원자재 가격 급등, 칩 공급난 등은 장애물

(사진=코트라)
▲ (사진=코트라)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이 다시 성장세로 돌아서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산업현장 자동화에 속도가 붙으며 로봇 도입이 늘어나는 추세다. 

 

11일 중국전자학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422억5000만 달러(약 50조원)으로 전년 대비 18.9% 증가했다. 향후 3년간 시장이 지속 성장, 오는 2023년 589억 달러(약 69조6000억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은 지난 2013년 세계 최대 로봇 시장으로 부상하며 8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경기 하방 압력, 산업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시장 성장률은 2017년 이전 30%대에서 2018년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로 자동화, 비대면이 주요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로봇 도입과 스마트 팩토리 구축이 가속화, 상황이 급변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운반, 용접, 조립, 도장 작업 등에 쓰이는 산업용 로봇 비중이 가장 크다. 세계 로봇 시장에서 산업용 로봇의 평균 비중은 43%인 가운데 중국은 이보다 10%p 높은 53%다. 

 

수요 급증으로 산업용 로봇 제조기업들도 생산능력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일본 화낙, 야스카와, 스위스 ABB, 독일 쿠카 등 중국에 진출한 해외 기업 외에 아이스둔, 아이푸터 등 현지 기업들도 공격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올 10월까지 중국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51.9% 급증한 29만8000대를 기록했다. 연내 35만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호황은 한국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핵심부품의 대외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스티어링 엔진, 시각처리 모듈, 모터, 각종 센서(초음파, 적외선, 동작, 온도 등) 등을 대부분 수입하며 인공지능(AI) 등 기술협력에 대한 수요도 높다. 

 

다만 원자재 가격 급등과 반도체 공급난, 전력난 등이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지난 3분기 산업용 로봇 출하 증가율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8.7%에 그쳤다. 각각 96.3%, 75.8%를 기록한 1·2분기에 비해 훨씬 낮은 수치다. 공급망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카카오오픈채팅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