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NOTICE

WK 뉴스레터 구독신청 바로가기
개인정보 수집·이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상의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참관객의 개인정보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및 같은 법 제22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WELDING KOREA 2020 전시회 뉴스레터 제공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가.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전시회 뉴스레터 발송
2) 기타 서비스 및 정보의 안내
나.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관련법령에 의한 경우, 이용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상기목적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지 않을 것이며, 이용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의 사전동의를 받을 것입니다.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주)코엑스 창원사무소는 이용자에게 전시회와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집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제공을 위한 필수항목 이외에는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1) 필수항목 : 이메일 주소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가.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주)코엑스 창원사무소가 보유합니다.
나.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하기의 경우 삭제 및 파기합니다.
1) 이용자가 서비스를 더 이상 원하지 않거나 자격을 상실한 경우
2) 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경우
다.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5년간 보존 후 삭제하거나 다른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 관리 합니다.
1) 이용자가 홈페이지 및 전시회 관련 서비스를 연속해서 5년간 이용하지 않을 경우
2) 개인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이용자와 5년간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4.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본사는 개인정보 보유기관의 경고,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정보주체로부터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관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5.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및 공유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주)코엑스 창원사무소]에서 제공하는 [WELDING KOREA 2020] 뉴스레터 서비스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 전시개요
  • 참가안내
  • 브로슈어
  • home
  • NOTICE
  • 보도자료 / 업계소식

보도자료 / 업계소식

로봇이 택배 포장·출고까지…물류작업 생산성 55% '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93회 작성일 22-07-18 10:28

본문

CJ대한통운 경기 군포시 스마트 풀필먼트센터에서 고정노선 운송로봇(AGV)이 선반을 옮기고 있다. [사진 제공 = CJ대한통운]
사진설명CJ대한통운 경기 군포시 스마트 풀필먼트센터에서 고정노선 운송로봇(AGV)이 선반을 옮기고 있다. [사진 제공 = CJ대한통운]

"'스마트 풀필먼트센터'에는 로봇 126대가 사람을 대신해 분주하게 움직입니다. 구간마다 최적화된 자동화 기술이 적용돼 있습니다."

지난 13일 경기 군포시에 위치한 CJ대한통운 스마트 풀필먼트센터에서 만난 조주형 센터장은 "불필요한 작업 동선을 없앴더니, 현재 시간당 1인 작업량은 23.8박스로, 일반 물류센터 작업 방식 대비 55% 향상됐다"고 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2월부터 연면적 3만8400㎡(약 1만1616평)에 5층 규모 스마트 풀필먼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1개층을 통째로 스마트층으로 운영한다. 이곳에서는 여러 고객사의 상품을 공동으로 보관했다가 재고 관리부터 포장·검수·출고·배송까지 모든 물류 과정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처리한다. 사람이 일일이 큰 창고 안에서 주문 상품을 찾아 포장해야 하는 일반 물류센터와는 눈에 띄게 달랐다. 


2층에 위치한 스마트층에서는 사람 대신 로봇이 분주하게 움직였다. 작업자가 터치스크린으로 상품을 호출하면 피킹 고정노선 운송로봇(AGV)이 출고할 상품을 물류창고 보관 장소에서 가져온다. 이어 작업자가 소비자 주문에 맞는 상품을 꺼내 박스로 옮기면 이송 AGV가 박스를 들고 검수존으로 이동한다. 로봇이 알아서 움직이니 작업자인 사람은 제자리에서 상품을 골라내고, 화면을 누르고, 바코드만 스캔하면 된다. 이 층에만 피킹 AGV 101대와 이송 AGV 25대가 운용되고 있다.

다음 과정인 주문 상품이 담긴 택배 박스에 완충재를 넣고 포장해 송장을 부착하는 것도 모두 사람이 아닌 로봇의 몫이다. AGV가 피킹존에서 가져온 박스를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올려놓으면 디지털 중량계가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측정값이 미리 축적한 상품 무게 데이터와 비교해 ±5% 이내이면 통과되고 초과하면 별도로 분류된다. 박스에 기준 무게 이상의 다른 물건을 넣자 곧바로 '중량 초과'를 알리는 경고음이 울리면서 해당 박스는 별도 검수 장소로 옮겨졌다. 이때 CJ대한통운은 센터로 입고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체적과 무게를 측정해 데이터로 축적한다. 이후 주문이 들어오면 주문 상품의 종류와 수량에 맞춰 부피와 무게의 합계를 자동 계산한다. 


자동화 시스템은 상품의 부피값에 맞춰 가장 적합한 박스를 자동 배정하고, 상품이 박스에 담기면 3D 비전 스캐너로 빈 공간을 측정해 로봇팔이 적정량의 종이완충재를 넣는다. 조 센터장은 "박스 안에 서로 다른 상품 크기를 자동으로 파악해 완충재가 빈 공간 없이 박스 안을 100% 수준으로 채우는 것"이라며 "포장 생산성만 최대 40% 향상됐다"고 덧붙였다.

현재 '자정 주문 마감-익일 배송' 프로세스로 가동되고 있는데, CJ대한통운은 이 같은 첨단 설비를 토대로 연내 당일·새벽배송까지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경기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에 구축하고 있는 물류센터에도 이 같은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고, 향후 다른 전국 풀필먼트센터로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조 센터장은 "고도화된 기술과 운영 역량으로 판매자가 마케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소비자 배송 만족도도 높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오픈채팅
상담신청